근육 속 기생충의 침입, 선모충증(Trichinellosis) 완전 정리

**선모충증(Trichinellosis)**은 덜 익힌 돼지고기나 야생동물 고기를 통해 감염되는 인수공통 기생충 질환입니다. 감염 후 초반에는 위장 증상으로 시작하지만, 유충이 전신으로 퍼지면 근육통, 발열, 안면 부종, 신경계 이상 등 심각한 전신 증상으로 진행될 수 있습니다. 일부 환자에게는 생명을 위협할 수 있는 중증 질환으로 발전하므로, 감염 예방과 조기 치료가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선모충증 요약 정리표

항목내용
병명선모충증 (Trichinellosis, Trichinosis)
원인 기생충Trichinella spiralis
감염 경로감염된 돼지·야생동물 고기를 덜 익혀 섭취
숙주사람, 돼지, 곰, 멧돼지, 고양이, 개, 쥐 등
주요 감염 부위위장관(장), 골격근, 심장, 폐, 중추신경계
주요 증상복통, 설사, 열, 근육통, 안면 부종, 호산구 증가
진단법병력 확인, 혈청 검사, 호산구 증가, 근육 조직 검사
치료법항기생충제 (메벤다졸, 알벤다졸), 진통제, 스테로이드
예방고기 완전 익히기, 농장 위생 관리, 야생동물 고기 섭취 주의

감염 경로

  1. 감염 고기의 섭취
    • 가장 흔한 전파 방식
    • 감염된 돼지, 멧돼지, 곰 등의 근육 속 선모충 유충을 덜 익혀 먹었을 때
  2. 사육 환경을 통한 확산
    • 감염된 쥐 → 돼지 → 사람 간의 순환 감염 고리
    • 도축장, 농장에서 위생 관리가 부실할 경우 퍼지기 쉬움
  3. 훈제, 절임, 육회 형태의 고기
    • 내열성이 강한 선모충 낭포는 60℃ 미만에서는 죽지 않아 훈제·육회도 감염 위험 존재

감염 단계 및 증상

시기설명주요 증상
초기 (1~7일)성충이 장 점막 침범복통, 설사, 구토, 미열
유충 이행기 (2~6주)유충이 혈류 타고 근육 침입고열, 근육통, 안면 부종, 발진, 결막염, 호흡 곤란
만성기 (6주 이후)유충이 피막 형성 후 정착근위축, 만성 피로, 심근염, 신경 손상, 쇼크 등

호산구 증가, CK 상승, 눈 주위 부종은 선모충증의 중요한 진단 힌트입니다.


고위험 합병증

  • 심근염: 전격성 심장 기능 저하 가능
  • 뇌수막염, 신경염: 중추신경계 감염 시 발작, 마비
  • 호흡근 마비: 드물게 호흡 곤란, 쇼크 사망

진단 방법

방법설명
병력 청취최근 섭취한 덜 익힌 고기 여부 확인
혈액 검사호산구 증가, 근육 효소(CK, LDH) 상승
혈청 검사항체 검사 (ELISA) 통해 확진 가능
근육 조직 검사유충 낭포 직접 확인 (진단의 확정 수단)

치료 방법

1. 항기생충 약물

약물용량 및 기간대상
알벤다졸400mg 1일 2회, 10~14일성인, 유충 초기 단계에 효과
메벤다졸200400mg, 3회/일 × 3일 → 400500mg × 10일성충·유충 모두에 효과

2. 보조 치료

  • 진통제: 근육통, 두통 조절 (코데인 등 사용 가능)
  • 스테로이드: 심근염, 신경염 등 합병증 있을 때 사용
  • 수액 요법: 전해질 불균형 시 보조

예방 수칙

항목권장 사항
고기 완전 익히기내부 온도 71℃ 이상 (선모충 유충 사멸 온도)
훈제/육회 피하기돼지, 멧돼지, 곰고기는 반드시 익혀 먹기
축산 위생 관리쥐 박멸, 사육장 청결 관리
검사 확인된 고기 구매도축 검사된 안전 인증 고기만 섭취
야생동물 고기 자제캠핑, 수렵 중 고기 섭취 전 조리 확인 필수

공신력 있는 해외 참고자료


자주 묻는 질문 (FAQ)

Q. 선모충증은 사람 간 전염이 되나요?
A. 아닙니다. 오직 감염된 고기 섭취를 통해서만 감염됩니다. 사람 간 전파는 없습니다.

Q. 무증상일 수도 있나요?
A. 네. 감염량이 적으면 증상이 전혀 없을 수 있으며, 2차 검사에서 우연히 발견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Q. 훈제 햄이나 소시지도 위험한가요?
A. 충분히 익히지 않은 제품은 위험할 수 있으므로, 고온 가열 여부를 확인해야 합니다.

Q. 여행 중 감염 가능성은 어떤가요?
A. 야생동물 고기나 현지 전통음식 중 덜 익은 고기류는 감염 위험이 있습니다. 현지에서 고기 섭취 시 반드시 조리 상태를 확인하세요.


선모충증은 고기를 잘 익혀 먹는 것만으로도 예방이 가능한 질환입니다. 그러나 한 번 감염되면 근육통과 장기 손상으로 인해 일상생활에 큰 불편을 줄 수 있으므로, 조리 전 고기의 안전성을 철저히 확인하고 증상이 의심되면 조기에 진료 및 치료를 시작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