렙토스피라증은 쥐나 가축의 소변에 오염된 물이나 토양을 통해 전염되는 급성 열성 질환입니다. 흔히 **‘농부병’ 또는 ‘7일 열’**로 알려져 있으며, 장마철 이후 논·밭 작업을 한 사람에게서 많이 발생합니다. 빠른 항생제 치료로 대부분 회복되지만, 치료가 늦어질 경우 간·신장·폐에 치명적인 합병증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렙토스피라증 한눈에 보기
항목 | 내용 |
---|---|
질환명 | 렙토스피라증 (Leptospirosis) |
다른 이름 | 논농부병, 7일열, 와일씨병 |
주요 감염 시기 | 8~11월 집중호우 이후 |
감염 매개체 | 설치류(특히 들쥐), 가축의 소변 |
전파 경로 | 피부 상처, 점막(눈·입 등)을 통해 오염된 물 접촉 |
잠복기 | 평균 5~14일 |
주요 증상 | 고열, 두통, 근육통, 황달, 안구 충혈, 수막 자극 증상 |
진단 방법 | 혈액·소변 배양, 혈청학적 검사(MAT, ELISA) |
치료 | 항생제(페니실린, 독시사이클린), 조기 치료 중요 |
예방 | 방수복 착용, 감염 위험 시 독시사이클린 예방복용 |
감염 경로
렙토스피라균은 쥐·가축 등의 소변으로 배출되어 논물, 하천, 진흙 등에 서식하게 됩니다. 감염된 환경과 직접 피부가 닿거나 상처·점막을 통해 인체로 침투하면 감염이 시작됩니다.
- 🌾 홍수나 태풍 후 논·밭 작업 시 노출 ↑
- 🐀 감염 보균 동물: 쥐, 개, 소, 돼지 등
- 💧 오염된 흙, 지하수, 개울물 접촉으로 감염
주요 증상
렙토스피라증은 **혈증기(1단계)**와 면역기(2단계) 두 시기로 나뉩니다.
시기 | 주요 증상 |
---|---|
혈증기 (1~7일) | 갑작스러운 고열, 두통, 근육통(특히 종아리), 오한, 구토, 안구 충혈, 발진 |
면역기 (7일 이후) | 황달, 신장 기능 저하, 수막 자극 증상(목 경직), 뇌염 증상, 폐출혈, 청색증 |
🧠 심한 경우 수막염, 폐출혈, 간·신부전 동반. 치료 지연 시 치명적.
진단 및 감별
렙토스피라증은 증상만으로는 쯔쯔가무시, 신증후군출혈열 등과 유사하여 혼동되기 쉽습니다. 따라서 반드시 혈액 검사와 혈청 검사로 확인해야 합니다.
검사 방법 | 설명 |
---|---|
혈청학적 검사 (MAT) | 4배 이상 항체 상승 시 확진 가능 |
dot-ELISA | IgM 항체 검출, 조기 진단에 효과적 |
배양 검사 | 혈액·소변에서 균 배양 (진단 확정) |
⚠️ 증상과 지역, 계절(논 작업, 홍수 후) 고려한 진단이 중요합니다.
치료 방법
- 조기 항생제 치료가 핵심
- 페니실린 G, 독시사이클린, 세프트리악손 등 사용
- 보존적 치료 병행
- 수액, 해열제, 전해질 보충
🕒 발병 5일 이내 치료 시작 시 회복 속도 및 예후 크게 향상
경과 및 합병증
합병증 | 설명 |
---|---|
신부전 | 소변 감소, 신기능 저하 |
간부전 | 황달, 간 수치 상승 |
폐출혈 | 객혈, 호흡곤란, 폐부종 |
수막염 | 목 경직, 정신 혼미, 구토 |
- 중증일 경우 치료 지연 시 사망률 상승
- 일부 환자는 회복 후 피로감, 두통 등의 후유증을 겪기도 함
예방법
생활 속 예방법
- 홍수나 비온 후 논·밭작업 시 장갑, 장화, 방수복 착용
- 작업 후 비누로 손발 철저히 씻기
- 의심 지역 물은 끓여 마시기
예방약
- 고위험군은 독시사이클린 200mg / 주 1회 복용 (예방 효과 입증)
- 농촌 봉사활동, 수해복구 참여 시 의료진과 사전 상담 권장
자주 묻는 질문 (FAQ)
Q. 렙토스피라증은 사람 간 전염되나요?
👉 아닙니다. 직접 사람 간 감염은 거의 없습니다. 주로 환경 오염물 접촉을 통해 감염됩니다.
Q. 감기처럼 지나가기도 하나요?
👉 일부 경증 환자는 감기몸살 수준으로 지나갈 수 있습니다. 하지만 폐출혈형·간신부전형은 치명적일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Q. 백신은 없나요?
👉 현재까지 렙토스피라증 백신은 사람용으로 개발되어 있지 않습니다. 따라서 예방 수칙과 약물 예방이 중요합니다.
요약 정리
- 렙토스피라증은 야외작업, 장마철 이후 감염률이 높음
- 쥐·개·가축의 소변으로 오염된 물 접촉이 주요 원인
- 갑작스런 고열, 근육통, 황달, 안구 충혈 등 동반
- 진단은 혈청학적 검사와 병력 파악이 중요
- 조기 항생제 치료가 회복의 열쇠
- 작업 시 방수 장비 착용, 예방약 복용 필수
🌿 장마철 야외작업 전엔 예방약 복용,
🌾 논밭 들어갈 땐 긴 옷과 방수복 착용이 생명을 지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