면역 저하자의 위협, 슈도모나스 감염(녹농균 감염) 완벽 정리

**슈도모나스 감염(Pseudomonas infection)**은 환경에 흔히 존재하는 세균인 **슈도모나스 아에루지노사(Pseudomonas aeruginosa, 흔히 ‘녹농균’)**에 의해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건강한 사람에게는 드물게 감염되지만, 면역력이 약한 입원 환자나 고령자, 영유아, 만성 질환자에게는 치명적인 감염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특히 병원 내 감염의 대표 원인균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슈도모나스 감염 요약 정리표

항목내용
원인균슈도모나스 아에루지노사 (Pseudomonas aeruginosa)
주요 감염 부위폐, 피부, 요로, 귀, 각막, 혈류, 수술 상처
전파 경로오염된 의료기기, 욕조, 물, 손, 카테터, 인공호흡기 등
고위험군면역저하자, 화상환자, 중환자실 입원자, 영유아
주요 증상발열, 통증, 환부에서 녹색 고름, 피부 발진, 기침, 호흡곤란 등
진단법배양 검사 (혈액, 객담, 상처, 소변 등), 감염 위치에 따른 영상검사
치료법항생제(세팔로스포린, 카바페넴, 아미노글리코사이드 등) + 감염 부위 절제 가능성
특징항생제 내성 강함, 치료 어려움, 사망률 높음(패혈증 진행 시)

감염 경로 및 발생 위험

감염 경로설명
병원 내 전파카테터, 인공호흡기, 정맥 주사라인 등 의료기기 오염
습한 환경욕조, 샤워기, 온천, 수영장, 콘택트렌즈 세척기 등
피부 접촉화상, 상처, 수술 부위 감염
눈 감염콘택트렌즈 착용자에게 각막염 유발

병원 감염의 대표 세균으로 ICU, 수술실, 신생아실 등에서 주의해야 합니다.


대표 증상

감염 위치증상
피부붉은 발진, 고름이 나오는 통증성 물집, 수포성 발진
폐(폐렴)기침, 누런 가래, 발열, 호흡곤란, 흉통
중이염통증, 귀에서 악취나는 분비물, 청력 저하
요로감염배뇨통, 빈뇨, 탁한 소변
각막염눈 통증, 충혈, 시력 저하, 눈곱
패혈증고열, 혼수, 저혈압, 오한, 다장기 부전

감염 부위에 따라 폐렴, 수막염, 복막염, 골수염, 전립선염 등으로 확장될 수 있습니다.


진단 방법

  • 배양 검사: 감염 부위에서 채취한 샘플(혈액, 소변, 객담, 상처 분비물 등)에서 균 확인
  • 영상 검사: 폐렴이나 골염 의심 시 흉부 X-ray, CT 등
  • 항생제 감수성 검사: 내성 여부 확인 후 적절한 약물 선택

치료법

치료 방법설명
항생제 치료베타락탐계 항생제, 카바페넴, 아미노글리코사이드, 플루오로퀴놀론 계열 사용
병용 요법내성 억제 및 효과 증대를 위해 항생제를 2가지 이상 병용
외과적 치료고름 배출, 감염 조직 제거(화농성 피부 감염, 골수염 등)
감염 통제격리 및 접촉 차단, 의료기구 소독 및 위생 철저

항생제 내성이 강하기 때문에 감염 초기 정확한 약물 선택이 중요하며, 병원에서는 감염내과 전문의의 치료가 필요합니다.


예후 및 합병증

합병증설명
패혈증혈류 감염으로 진행 시 사망률 30~50% 이상
다장기 부전면역력이 떨어지거나 항생제 반응이 없을 경우 진행
호흡 부전인공호흡기 관련 폐렴 발생 시 치명적
시력 손상각막 궤양 진행 시 실명 위험

ICU 입원 환자, 암환자, 고령자는 치명적일 수 있으므로 조기 진단과 빠른 치료가 관건입니다.


예방법

수칙설명
개인 위생손 씻기, 상처 관리, 콘택트렌즈 위생 철저
병원 내 관리의료기기 철저한 멸균, 주사기 재사용 금지, 감염자 격리
습한 환경 소독욕실, 샤워기, 수영장, 온천 등 철저한 청결 유지
면역력 관리고령자, 만성질환자, 암환자 등은 정기 검진 및 예방적 조치 필요

해외 참고 자료


자주 묻는 질문 (FAQ)

Q. 녹농균 감염은 일반 사람에게도 잘 생기나요?
A. 일반적으로는 드물지만, 온천욕, 공용 샤워실, 수영장 이용 후 피부염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특히 피부 상처가 있는 경우 주의해야 합니다.

Q. 슈도모나스 감염은 전염되나요?
A. 직접적인 전염력은 낮지만, 병원 내에서는 간접 접촉이나 기구를 통해 전파될 수 있어 감염 통제가 매우 중요합니다.

Q. 치료가 어려운가요?
A. 항생제 내성이 강해 치료가 어렵지만, 감염 부위에 따라 조기에 진단하고 적절한 항생제를 사용하면 충분히 호전될 수 있습니다.


슈도모나스 감염은 환경균이지만 면역저하 상태에서는 치명적인 전신감염을 유발할 수 있는 위험한 병원균입니다. 특히 병원 내 감염 예방과 감염 초기의 빠른 대응이 생명을 좌우할 수 있는 핵심 포인트입니다. 평소 손 씻기, 상처 청결, 콘택트렌즈 관리 등을 통해 예방에 힘써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