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코마이신 내성 장알균 감염증(VRE)**은 강력한 항생제인 반코마이신에도 효과가 없는 고위험 병원균입니다. 이 균은 면역력이 약한 입원 환자나 중증 질환자에게 감염되기 쉽고, 한 번 감염되면 치료가 매우 어렵고 치명적일 수 있습니다. 병원 내 전파가 쉬워, 예방과 조기 대응이 생명선을 가릅니다.
VRE 감염증 개요
항목 | 내용 |
---|---|
정의 | 반코마이신에 내성을 가진 장알균(Enterococcus spp.)에 의한 병원감염 |
감염 위치 | 요로, 상처, 혈액(균혈증), 담도, 심내막 등 |
주요 위험군 | 장기 입원자, 면역 저하자, 암 환자, 고령자 |
전파 경로 | 병원 내 손 접촉, 오염된 의료기기, 기저귀 등 |
진단 기준 | 배양검사 + 항생제 감수성 검사 또는 유전자(vanA/vanB) 확인 |
원인균: 장알균(Enterococci)의 진화
장알균은 건강한 사람의 장 속에 존재하는 정상 세균입니다. 원래는 비교적 무해하지만, 항생제 사용이 반복되면 내성을 갖춘 돌연변이 균이 등장하게 됩니다. 그 대표가 바로 **VRE(Vancomycin-Resistant Enterococci)**입니다.
- Enterococcus faecium, Enterococcus faecalis → 주요 감염 원인균
- 반코마이신 내성 유전자 vanA, vanB 보유
- 감염보다 장내 보균자가 많은 것도 특징
증상: 감염 부위에 따라 다양한 양상
VRE는 일반적인 감염균과 증상이 다르지 않지만, 항생제가 듣지 않기 때문에 치료가 어렵고 진행이 빠릅니다.
감염 부위 | 증상 |
---|---|
요로 감염 | 열, 배뇨통, 빈뇨, 소변 혼탁 |
창상 감염 | 발적, 농, 통증, 발열 |
혈류 감염(균혈증) | 고열, 오한, 저혈압, 쇼크 |
심내막염 | 지속적인 열, 심장 잡음, 심부전 |
폐렴(드물게) | 기침, 호흡곤란, 객담 |
🚨 균혈증 발생 시 사망률 최대 67%까지 상승
진단: 정확한 배양과 유전자 확인이 핵심
검사 항목 | 설명 |
---|---|
배양 검사 | 혈액, 소변, 농 등에서 VRE 균 분리 |
항생제 감수성 검사 | 반코마이신 최소억제농도(MIC) ≥ 32㎍/㎖이면 VRE |
유전자 검사 | vanA, vanB 등 내성 유전자 탐지 |
선별 검사 | 보균 여부 파악을 위해 항문 면봉 배양 검사 진행 |
치료: 선택지는 제한적
무증상 보균자의 경우
- 별도의 치료 불필요
- 하지만 전파 차단을 위한 격리와 손위생 철저
감염이 발생한 경우
- VRE 감수성이 있는 리네졸리드, 다프토마이신 등 항생제 사용
- 감염 부위에 따라 복합요법 고려
- 감염병 전문의와의 긴밀한 협의 필수
📌 반코마이신은 사용하지 않으며, 치료 실패율이 높으므로 조기 투약과 감시 중요
경과 및 합병증
- 치료가 어려워 사망률 높음: VRE 균혈증의 사망률은 67%
- 심내막염, 패혈증, 폐렴 등 진행성 합병증
- 특히 기저질환(암, 당뇨, 신장병 등) 환자일수록 치명적
예방 수칙: 병원 내 감염을 막는 5가지 핵심
예방 조치 | 설명 |
---|---|
환자 격리 | VRE 감염/보균자는 접촉 격리 시행 (단독 병실 배치) |
손 위생 철저 | 의료진과 보호자는 장갑·가운 착용, 알코올 손세정제 사용 필수 |
의료기기 멸균 | 환자가 사용한 도뇨관, 체온계 등은 철저한 소독 필요 |
병실 환경관리 | 침대, 문 손잡이, 화장실 표면 등 정기 소독 필요 |
항생제 남용 금지 | 불필요한 항생제 처방은 내성 균 확산 원인 |
FAQ
Q. VRE에 걸리면 일상생활이 어려운가요?
A. 증상이 없는 보균자는 일상생활이 가능합니다. 다만, 병원 방문 시 감염 내과에 반드시 알리고 격리 조치를 따르세요.
Q. 감염되면 완치될 수 있나요?
A. 증상이 있는 경우 빠른 항생제 치료로 회복 가능합니다. 다만 균혈증 등 중증은 장기 입원과 중환자 치료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Q. 반코마이신 외 다른 항생제는 없나요?
A. VRE 치료에는 리네졸리드, 다프토마이신, 티고사이클린 등이 사용됩니다. 하지만 항생제 내성은 쉽게 생기므로 남용은 금물입니다.
**반코마이신 내성 장알균(VRE)**은 침묵 속에 퍼지는 병원 내 전파의 위험균입니다. 손 씻기 하나로도 막을 수 있는 전파 경로, 그리고 적절한 항생제 선택과 철저한 감염관리가 생명을 살릴 수 있습니다.
“VRE는 조용하지만 위험한 경고입니다. 병원 감염은 예방이 최선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