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름철 가려움의 원인, 사타구니 백선(Tinea cruris) 완벽 가이드

사타구니 백선은 흔히 ‘사타구니 무좀’으로 불리며, 곰팡이균(진균)이 사타구니 부위의 피부에 감염을 일으켜 생기는 감염성 피부 질환입니다. 서혜부, 대퇴부 안쪽, 엉덩이, 음낭 등 피부가 접히고 땀이 차기 쉬운 부위에 주로 발생하며, 치료를 받지 않으면 가려움증과 색소침착, 반복적인 재발로 생활의 질을 크게 떨어뜨릴 수 있습니다.


사타구니 백선 요약 정리표

항목내용
병명사타구니 백선 (Tinea cruris)
병원체피부사상균(T. rubrum 등)
전염성있음 (수건, 속옷 등 간접 전파 포함)
주요 부위사타구니, 허벅지 안쪽, 엉덩이, 항문 주위
주요 증상가려움, 홍반, 피부 갈라짐, 색소 침착
진단법KOH 검사, 곰팡이 배양 검사
치료법항진균제 도포 및 경구 복용, 청결 유지
재발률높음 (발 무좀과 동시 치료 필요)

주요 증상과 실제 예시

증상설명예시 상황
가려움증가만히 있어도 긁고 싶을 정도의 심한 소양감앉았다 일어날 때, 속옷 접촉 시 가려움 심화
붉은 홍반사타구니 부위 피부가 붉고 경계가 뚜렷원형 또는 반달 모양의 붉은 부위
각질화, 갈라짐피부가 거칠고 벗겨지거나 터짐허벅지 안쪽 피부가 트고 딱딱해짐
색소 침착병변 부위가 짙은 갈색으로 변함치료 후에도 오래 남는 짙은 얼룩
부스럼, 습진긁거나 자극으로 인해 2차 감염 발생진물이나 통증 동반 시 주의 필요

주의: 증상이 엉덩이, 음낭까지 번지면 일상생활이 크게 불편하며, 혼동되기 쉬운 습진, 습열성 피부염과 감별 진단이 필요합니다.


감염 원인

  • 고온다습한 환경 (여름철, 땀 많은 부위)
  • 꽉 끼는 속옷, 합성섬유 재질
  • 발 무좀에서 속옷으로 균이 올라오는 자가 감염
  • 공공 목욕탕, 헬스장, 수영장 등에서의 간접 접촉
  • 발 무좀을 제대로 치료하지 않아 지속적으로 균이 사타구니로 전이됨

진단 방법

  • KOH 직접 도말 검사: 병변의 각질을 채취해 현미경으로 곰팡이 균사 확인
  • 곰팡이 배양 검사: 정확한 진균 종류 확인
  • 육안 진단: 경계가 뚜렷한 원형 붉은 반점이 특징

치료 방법

방법설명
항진균제 도포클로트리마졸, 케토코나졸 등 하루 1~2회 사용
경구용 항진균제재발이 잦거나 범위가 넓을 때 필요 (예: 테르비나핀)
치료 기간증상 소실 후 2~3주 추가 도포 권장
보습 관리과도한 비누질, 때밀기 피하고 피부 보호
동시 치료발 무좀도 함께 치료해야 재발 방지 가능

생활 속 주의사항 및 예방법

  • 땀이 찼다면 즉시 샤워, 깨끗이 닦고 완전히 건조
  • 속옷은 면 소재로 통풍 잘 되는 헐렁한 옷 착용
  • 조이는 바지, 합성섬유 내의 금지
  • 수건, 속옷 개인용으로 구분
  • 발 무좀을 방치하지 말고 동시 치료
  • 운동 후 젖은 옷 즉시 갈아입기
  • 의복, 속옷 삶거나 고온 살균 후 착용

신뢰할 수 있는 해외 출처


자주 묻는 질문 (FAQ)

Q. 사타구니 백선은 완치되나요?
A. 치료 후 재발률은 높지만, 정확한 진단과 꾸준한 항진균제 치료, 생활습관 개선을 병행하면 완치가 가능합니다.

Q. 백선과 습진은 어떻게 구별하나요?
A. 백선은 경계가 명확한 붉은 반점이며 중앙은 비교적 깨끗하고 주변이 번지듯 붉은 형태로 나타납니다. 습진은 불규칙한 경계와 진물이 많은 것이 특징입니다.

Q. 발 무좀만 치료해도 사타구니 백선이 좋아지나요?
A. 아니요. 사타구니 부위에도 곰팡이가 이미 퍼졌다면 별도로 동시 치료해야 재발을 막을 수 있습니다.

Q. 한 번 생기면 계속 재발하나요?
A. 습기와 마찰이 계속되는 환경이라면 반복될 수 있습니다. 특히 여름철, 운동량 많은 사람, 비만한 경우 철저한 예방이 필요합니다.


사타구니 백선은 단순한 피부 질환처럼 보이지만, 반복될 경우 만성화되고 다른 부위로 퍼질 수 있어 적극적인 치료와 예방이 필요합니다. 특히 여름철에는 발 무좀과 함께 생활 위생, 의복 관리, 동시 치료를 철저히 해야 완전한 회복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