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기 궤양의 이면, 샅(서혜)육아종(Granuloma inguinale) 완전 정리

샅육아종(Granuloma inguinale, Donovanosis)은 칼리마토박테리움 글라눌로마티스(Calymmatobacterium granulomatis)라는 병원균에 감염되어 발생하는 만성 궤양성 성병입니다. 주로 성적 접촉을 통해 전염되며, 초기에는 통증 없는 작은 결절에서 시작하지만, 점점 조직이 파괴되며 진피층까지 침범하는 출혈성 궤양으로 진행될 수 있습니다. 드물지만, 태아에게 감염되어 유산을 유발하거나 출생 시 산도 감염도 가능하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샅육아종 요약 정리표

항목내용
병명샅(서혜)육아종 / 도노반증 (Granuloma inguinale, Donovanosis)
원인균Calymmatobacterium granulomatis (현: Klebsiella granulomatis)
전염 경로성 접촉, 산도 감염, 드물게 자가 접종
주요 증상통증 없는 궤양, 육아종, 악취 나는 분비물, 림프부종
주 발병 부위성기, 항문 주위, 서혜부, 치골부
잠복기평균 23주 (14주 사이 변동)
진단법현미경에서 도노반체(Donovan body) 확인
치료법항생제 치료 (독시사이클린, 에리스로마이신 등)
합병증림프관 폐쇄, 림프 부종, 조직 변형, 2차 감염
유병 지역아프리카, 인도, 파푸아뉴기니, 카리브해 등 열대·아열대 지방

증상 상세 설명

샅육아종의 초기 병변은 감염 후 약 2~3주 후에 나타나며, 다음과 같은 진행 양상을 보입니다.

1. 초기 단계: 무통성 구진 또는 결절

  • 성기, 서혜부, 항문 주위에 붉은 단추 모양의 작은 병변
  • 통증이나 가려움 거의 없음

2. 진행 단계: 궤양화

  • 구진이 궤양으로 발전하며 가장자리가 말려 올라간 듯한 모양
  • 궤양은 점점 넓어지고, 진물이나 악취 나는 분비물 동반
  • 궤양은 쉽게 출혈되고, 주변으로 퍼지기도 함

3. 후기 합병증

  • 병변이 장기화되면 림프관 폐쇄, 국소 림프 부종 발생
  • 조직 괴사 또는 피부 변형
  • 2차 감염 시 통증과 염증 심화

진단 방법

샅육아종은 희귀 감염병이라 다른 성병과의 감별 진단이 매우 중요합니다.

진단 항목설명
도노반체 확인병변에서 채취한 조직 도말 후 Giemsa 또는 Wright 염색하여 확인
배양 검사Klebsiella 균 배양은 까다로워 드물게 시행
PCR 검사일부 국가에서 분자진단 가능, 국내는 제한적
감별 질환매독, 연성하감, 헤르페스, 첨형 콘딜로마, HIV 관련 병변 등

치료 방법

샅육아종은 항생제에 반응이 좋은 감염 질환이며, 치료 기간은 최소 3주 이상 필요합니다.

1차 치료

  • 독시사이클린 100mg 1일 2회, 최소 3주 이상 복용
  • 병변이 완전히 사라질 때까지 계속 복용 필요

대체 치료 (임산부, 약물 금기 시)

  • 에리스로마이신 500mg 1일 4회
  • 스트렙토마이신 IM 주사 병행 가능
  • 겐타마이신, 클로람페니콜도 상황에 따라 사용

치료 중 궤양이 사라지더라도 도노반체가 검출되지 않을 때까지 치료를 이어가는 것이 원칙입니다.


예후 및 합병증

  • 치료 시 대부분 회복 가능하지만, 치료 지연 시 조직 파괴, 림프부종, 흉터 변형 남을 수 있음
  • 항문, 입술, 눈, 후두 등 다른 점막부위로 퍼지기도 함
  • 드물게는 암종성 병변과 혼동되거나 이차성 감염으로 상태가 악화될 수 있음

예방 수칙

  • 성 접촉 시 콘돔 사용 권장
  • 의심 증상자와 성관계 금지
  • 정기적인 STD 검진 권장 (여행 후 또는 새로운 파트너 생겼을 때)
  • 감염자 파트너 동시 치료 필수 (재감염 예방)
  • 성기 궤양 또는 의심 증상 발생 시 즉시 진료

공신력 있는 해외 참고 사이트


자주 묻는 질문 (FAQ)

Q. 샅육아종은 성관계 없이도 감염될 수 있나요?
A. 대부분은 성적 접촉을 통해 전파되지만, 드물게 자가접종(손으로 병변을 만져 다른 부위에 옮김)이나 오염된 물건을 통한 전염도 보고된 바 있습니다.

Q. 치료를 받으면 흉터 없이 낫나요?
A. 조기 치료 시 흉터 없이 회복 가능합니다. 그러나 궤양이 깊고 넓게 퍼진 경우에는 색소침착이나 조직변형이 남을 수 있습니다.

Q. 재발 가능성은 있나요?
A. 치료가 불충분하거나 파트너와 동시 치료가 되지 않은 경우 재발 가능성이 있으며, 6개월~1년 내 재감염 사례도 보고됩니다.

Q. 임신 중에도 치료할 수 있나요?
A. 네. 임산부도 에리스로마이신 등 비교적 안전한 항생제로 치료가 가능하며, 태아 감염 예방을 위해 조기 진단이 매우 중요합니다.


샅육아종은 드문 질환이지만, 방치 시 심각한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는 치명적인 성병입니다. 특히 성기 궤양이 발견된다면 자가진단하지 말고 반드시 피부과, 비뇨의학과 또는 감염내과 전문의의 진단을 받아야 합니다. 치료가 비교적 잘 되는 질환인 만큼 조기 발견과 정확한 항생제 치료가 완치를 좌우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