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음부암은 여성의 생식기 외부에서 발생하는 드문 암으로, 주로 60세 이상의 여성에게 진단됩니다. 하지만 초기 증상이 비교적 명확하고, 조기 발견 시 치료 성과도 좋은 편입니다. 이 글에서는 외음부암의 정의, 원인, 증상, 진단과 치료법, 예후 및 예방법까지 상세하게 정리했습니다.
외음부암 한눈에 보기
항목 | 내용 |
---|---|
정의 | 여성의 생식기 입구(대음순, 소음순, 음핵 등)에 발생하는 암 |
주요 부위 | 대음순, 소음순 |
발생 시기 | 평균 65세, 드물게 40세 이전에도 발생 |
주요 원인 | 인유두종 바이러스(HPV), 흡연, 면역 저하 |
주요 증상 | 외음부 가려움, 출혈, 분비물, 궤양, 융기된 병변 |
진단법 | 질확대경, 조직검사, CT/MRI 등 영상검사 |
치료법 | 외음부 절제술, 방사선 치료, 항암화학요법 등 |
5년 생존율 | 림프절 침범 없을 시 90% 이상, 전이 시 30~55% |
외음부암이란?
외음부암은 여성 생식기계 입구, 즉 음순(대음순·소음순), 음핵, 질 입구에 생기는 악성 종양입니다. 전체 여성 암 중 **약 0.6%**로 발생률은 낮지만, 고령 여성에서 주로 발생하며 증상이 드러나기 쉬워 조기 진단이 가능한 편입니다.
외음부암의 약 90% 이상은 편평세포암이며, 이 외에도 흑색종, 바르톨린선암, 기저세포암 등이 드물게 나타납니다.
주요 원인
원인 | 설명 |
---|---|
인유두종 바이러스(HPV) | 전체 환자의 약 20~60%가 HPV 양성. 외음부 상피내 종양(VIN) → 외음부암으로 진행 |
흡연 | 발암물질 노출 증가로 인해 위험도 상승 |
면역 저하 | 면역 기능이 떨어진 사람은 HPV 감염 후 암으로 진행할 위험 높음 |
연령 | 평균 진단 연령은 65세, 폐경기 이후 주의 필요 |
외음부암 증상
초기에는 무증상이거나 경미한 가려움증으로 시작되지만, 진행되면서 다음과 같은 증상이 나타납니다:
- 외음부의 지속적인 가려움
- 출혈 또는 비정상적 분비물
- 병변 부위 궤양 또는 돌출
- 색 변화 (붉거나, 하얗거나, 검은색)
- 배뇨 시 통증 또는 불편감
병변이 튀어나와 있거나 피부가 거칠어지고 딱딱해진다면 빠르게 병원을 찾아야 합니다.
진단 방법
방법 | 설명 |
---|---|
육안 관찰 및 질확대경 검사 | 외음부 병변의 모양, 색, 변화 정도 확인 |
조직검사 | 병변 부위를 채취하여 암세포 유무 확인 (진단 확정) |
영상검사 (CT, MRI 등) | 암의 전이 범위 및 주변 조직 침범 여부 확인 |
치료 방법
암의 크기, 위치, 전이 여부에 따라 치료 방법이 달라집니다.
치료법 | 설명 |
---|---|
외음부 절제술 | 병변만 제거하거나 광범위 절제. 요도·질 기능 보존이 중요 |
방사선 치료 | 수술 전 병변 축소, 수술 후 재발 방지 목적으로 사용 |
항암 화학요법 | 원격 전이나 재발 시 사용. 방사선과 병행 가능 |
최근에는 기능 보존과 미용적 결과를 고려한 보존적 수술이 확대되고 있습니다.
경과 및 예후
림프절 침범 여부 | 5년 생존율 |
---|---|
없음 | 90% 이상 |
있음 | 55% 이하 |
광범위 전이 | 30% 전후 |
- 림프절 전이 여부가 외음부암 예후의 핵심 요소입니다.
- 초기에 발견하고 치료하면 생존율이 매우 높습니다.
외음부암 예방 수칙
예방 항목 | 설명 |
---|---|
HPV 예방접종 | 고위험 HPV 감염 예방으로 외음부암 및 자궁경부암 예방 |
금연 | 흡연은 외음부암을 포함한 여러 여성암의 위험 요인 |
안전한 성생활 | 첫 성관계 나이 늦추기, 성 파트너 수 줄이기 |
위생 관리 | 통풍이 잘 되는 면 속옷 착용, 꽉 끼는 옷 피하기 |
정기 검진 | 1년에 1회 부인과 정기검진 및 자가 검진 습관화 |
외음부 자가 검진법
- 거울을 이용해 외음부의 색, 모양, 두께 변화 확인
- 튀어나온 혹, 궤양, 진물, 사마귀 모양 병변 확인
- 지속적인 가려움이나 통증이 있다면 병원 진료 권장
FAQ
Q1. 외음부암은 자궁경부암과 다른가요?
A. 네, 외음부암은 생식기 외부(음순 등)에 생기는 암이며, 자궁경부암은 자궁 입구에 생기는 암입니다.
Q2. 외음부암은 전염되나요?
A. 암 자체는 전염되지 않지만, 원인 중 하나인 HPV는 성접촉을 통해 전염됩니다.
Q3. 외음부암은 젊은 여성도 걸릴 수 있나요?
A. 대부분 60세 이상에서 발생하지만, HPV 감염 등으로 인해 40세 이하에서도 드물게 발생할 수 있습니다.
Q4. 완치가 가능한가요?
A. 조기 발견 시 수술로 완치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림프절 전이 전 치료가 중요합니다.
참고자료
- 질병관리청 국가건강정보포털: https://health.kdca.go.kr
-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https://www.snuh.org
- 대한산부인과학회: https://www.ksog.org
- National Cancer Institute – Vulvar Cancer: https://www.cancer.gov/types/vulvar